페도라 리눅스 Chapter 09 소프트웨어 관리
OS/Fedora Linux

페도라 리눅스 Chapter 09 소프트웨어 관리

RPM 패키지 설치

RPM(Redhat Package Manager) 리눅스 회사인 레드햇에서 만든 패키지 관리 도구, 파일을 쉽게 설치 할 수 있다.

 

RPM은 패키지 의존성에 따라 관련 패키지가 먼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는데, 이를 보완하여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까지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패키지 관리 도구dnf 이다.

 

 RPM 패키지의 이름 구성 ▼

audit-2.7.7-1.fc26.x86_64.rpm

이름     버전    릴리스  아키텍처  확장자

 

 x86은 Intel x86 CPU 를, 64는 64bit OS 를 나타낸다. 64가 없는 경우엔 32bit를 말함.

 

패키지 정보 검색 : rpm -q[질의 옵션]

 전체 패키지 목록 출력 rpm -qa

 

 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 rpm -qa | grep 옵션

 

 사용 예) rpm -qa | grep bash

∴ 패키지 목록 중 bash가 포함된 패키지를 검색

 

패키지 삭제 : rpm -e [패키지명]

 패키지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하기 때문에 su 명령을 통해 root 사용자 모드에서 시도할 수 있도록 한다.

사용 예) rpm -e xterm

∴ xterm 패키지가 삭제됨

 

dnf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

 dnf(dandified yum, 깔끔해진 yum) 의 특징

 RPM 기반의 리눅스 패키지 관리자로 기존의 패키지 관리자인 yum 을 대체한 것. yum 명령을 확인해보면 dnf 로 대체되었다는 설명이 나온다.

 

 패키지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하여 설치 · 업그레이드 · 삭제할 수 있다.

예를 들어, 컴퓨터를 설치할 때 의존성이 있는 키보드 · 마우스 설치 등과 관련이 있는 파일들을 자동으로 찾아내줌

 

dnf

  • 기능  RPM 기반의 패키지 관리
  • 형식  dnf [옵션] [명령] [패키지명]
  • 옵션  -y: 설치 과정의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
  • 명령 ▼
    • install : 패키지를 설치한다. dnf install autotrace
    • remove : 패키지를 삭제한다. dnf remove autotrace

dnf install autotrace 명령 이후의 화면. dnf -y install autotrace 명령을 입력 시 아래 y/N 를 생략 가능하고 설치할 수 있다.

 

파일 아카이브와 압축

 아카이브(archive)는 본래 보관소, 저장소라는 뜻이지만 Linux 에서는 '파일을 묶어서 하나로 만든 것' 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.

 

아카이브

tar(tape archive)

  • 기능  파일과 디렉터리를 묶어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
  • 형식  tar 기능[옵션] [아카이브 파일] [파일명]
  • 기능 ▼
    • c : 새로운 tar 파일을 생성한다. tar cvf unix.tar Unix
    • x : tar 파일에서 원본 파일을 읽어온다. tar xvf unix.tar

ch2 디렉터리가 tar 파일로 변환되었다. xvf 를 통해 변환 전의 원본 파일을 읽어낼 수 있다.

 v 옵션 : 처리 중인 파일의 이름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. 지정하지 않아도 괜찮지만 파일이 올바로 처리되는지 확인하려면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 

 f 옵션 : 생성될 아카이브의 이름을 지정하는데, f 다음에 오는 이름을 아카이브명으로 간주한다. 파일명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으나 확장자를 .tar 로 지정하여 나중에 파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다. f 가 지정되어 있으면 tar 은 첫 번째 이름을 아카이브명으로, 두 번째부터 마지막 이름까지를 묶을 파일명으로 간주한다.

 

tar 는 압축은 하지않지만 묶기만 하기 때문에 .zip 과 유사하다.

 

 

gzip ( GNU에서 개발한 zip )

  • 기능  파일을 압축

gunzip

  • 기능  gzip 으로 압축된 파일의 압축을 풀음

 

make 명령 사용

 make 명령은 makefile (또는 Makefile)에 설정된 정보를 읽어서 여러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고 링크하여 최종 실행 파일을 만들어준다.